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주의 보석 같은 과일, 한라봉부터 설향까지 이야기

by 기린농장 2025. 4. 20.

제주의 보석 같은 과일, 한라봉부터 설향까지 이야기

제주의 땅은 바람이 키우고, 햇살이 길러낸 특별한 과일들의 고향입니다. 이 땅에서 자라난 과일들은 각기 다른 이름을 품고 있지만, 공통된 마음을 지녔습니다. 그 마음은 바로 자연의 선물, 그리고 사람을 향한 달콤한 위로입니다. 오늘 나는 당신에게 제주의 대표 감귤들을 하나씩 천천히 풀어내려 합니다.

귤사진

한라봉 - 겨울 햇살을 품은 주황빛 보석

한라봉은 이름부터 제주를 닮았습니다. 한라산의 봉우리처럼 볼록 튀어나온 모양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지요. 1월부터 3월 사이가 제철이며, 껍질은 두껍지만 손으로 쉽게 벗겨낼 수 있어 먹기 편합니다. 특징

  • 과육이 탱글탱글하고 즙이 많아 상큼한 맛
  • 비타민C가 풍부해 겨울철 피로회복에 좋음
  • 온도가 낮은 곳에 보관하면 오래 신선함 유지

천혜향 - 하늘이 내려준 향기

천혜향은 이름 그대로 '천상의 향기'를 지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봄바람처럼 부드러운 단맛과 은은한 향이 조화를 이루지요. 2월부터 4월까지 즐길 수 있는 과일입니다. 특징

  • 껍질이 얇고 당도가 높아 어린아이들도 좋아함
  • 생과일주스, 샐러드, 디저트 재료로 활용 가능
  • 향이 오래 남아 입안이 상쾌해짐

레드향 - 붉은 태양을 닮은 과일

레드향은 한라봉과 천혜향을 품종 개량해 탄생한 과일입니다. 이름처럼 진한 붉은빛을 띄고 있어 보는 것만으로도 따스함이 전해집니다. 12월부터 3월까지 수확됩니다. 특징

  • 과즙이 풍부하고 당도와 산미의 조화가 뛰어남
  • 껍질째 이용한 잼이나 차로도 활용 가능
  • 냉장 보관하면 특유의 신선한 향 유지

노지 감귤 - 제주 땅의 첫사랑 같은 과일

노지 감귤은 제주의 전통 과일입니다. 비닐하우스가 아닌 자연 그대로의 땅에서 자라납니다. 11월부터 1월까지 수확하며, 제주 사람들이 가장 애정하는 과일 중 하나입니다. 특징

  • 당도와 산도가 적절히 어우러진 전통 감귤 맛
  • 껍질이 얇아 간편하게 섭취 가능
  • 자연의 바람과 비를 견뎌낸 단단한 생명력

진지향 - 깊고 진한 향을 품은 감귤

진지향은 이름처럼 향이 진하고 깊습니다. 고급스러운 풍미 덕분에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품종입니다. 2월부터 4월까지 수확되며 천혜향보다 당도가 조금 더 높은 편입니다. 특징

  • 한입 물면 입 안 가득 채워지는 고운 향기
  • 선물용으로 인기가 높음
  • 껍질이 얇고 부드러워 섭취가 편리함

황금향 - 햇살을 닮은 황금빛 선물

황금향은 제주 바람과 햇살이 빚어낸 또 하나의 예술입니다. 색이 금빛을 닮아 황금향이라 부릅니다. 2월부터 4월까지 맛볼 수 있으며, 보기만 해도 기분이 따스해집니다. 특징

  • 높은 당도와 풍부한 과즙
  • 비타민C가 풍부하여 면역력 증진에 도움
  • 디톡스 음료나 건강 간식으로 인기

청견 - 맑고 청아한 향의 주인공

청견은 깔끔한 맛과 맑은 향이 매력적입니다. 한라봉과 비슷하지만 조금 더 상큼한 맛이 강조됩니다. 3월부터 5월까지 수확되는 봄의 과일입니다. 특징

  • 부드럽고 가벼운 식감
  • 입안 가득 은은한 향이 감돎
  • 피부 미용과 건강에 도움

설향 - 눈처럼 깨끗하고 향기로운 과일

설향은 이름부터 시적입니다. '눈'처럼 깨끗하고, '향'기로운 감귤이라는 뜻이지요. 맛은 부드럽고 상큼하며, 주로 1월부터 3월까지 수확됩니다. 특징

  • 부드러운 식감과 은은한 향
  • 저칼로리 과일로 다이어트 간식으로도 인기
  •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

제주의 감귤은 작은 태양입니다

제주의 땅은 정직하게 키운 과일들을 품에 안고 있습니다. 때로는 바람이 거셌고, 때로는 비가 많이 내렸지요. 하지만 그 모든 시간을 견뎌낸 감귤들은 우리에게 따스한 빛과 향기를 건넵니다. 겨울이면 당신의 손 안에 작은 태양이 머무를지도 모릅니다. 그 태양은 노랗고, 주황빛이며, 때로는 붉고, 때로는 황금빛입니다. 감귤 한 알을 입에 넣는 순간, 당신의 마음에도 작은 햇살 하나가 피어오를 거예요. 식물과 자연은 그렇게, 우리를 위로합니다.